[전문형] 근로시간 관리방안 마련
근무시간관리 기준마련, 근로시간 관리, 시스템 구축, 관련 규정 정비[심화형] 근무체계 개편(일 가정 양립 포함)
근로자 건강권 확보 및 일가정양립 문화 안착 유도를 위해 장시간 근로관행 해소진단컨설팅
전문 컨설턴트의 진단을 통하여 사업장의 인사노무 이슈를 파악합니다.현황진단
기업 내외부 현황분석 및 근로자의견조사 등을 통해 통합진단을 실시하고 제도설계방향을 도출합니다.제도설계
기업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제도를 설계함으로써 문제 해결방안을 도출합니다.이행지원
정부지원사업 연계, 설명회, 워크숍 등 활동을 통한 제도의 실행을 지원합니다.[전문형] 근로시간 관리방안 마련
근무시간관리 기준마련, 근로시간 관리, 시스템 구축, 관련 규정 정비[심화형] 근무체계 개편(일 가정 양립 포함)
근로자 건강권 확보 및 일가정양립 문화 안착 유도를 위해 장시간 근로관행 해소[전문형] 임금 관리체계 개선
공정한 보상체계 확립을 위한 임금관리 기준 설정[심화형] 임금체계 재설계
공정한 보상체계 확립을 위해 기존 임금제도 개편[전문형] 노사협의회 활성화
노사협의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[심화형] 노사 파트너십 증진방안 마련
노사관계 활성화 및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협력증진 방안 마련[심화형] 참여적 혁신활동
근로자의 참여가 가능한 직업조직 설계를 통해 기업 스스로 작업장 관리체계의 구축과 변화가 가능한 기반 마련[전문형] 일·가정 양립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
직장 내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[전문형] 직장내괴롭힘/성희롱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
상호존중의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직장내 성희롱 및 괴롭힘 관련 대응체계 수립[전문형] 학습체계 기준 수립
HRD 기반의 조직 학습체계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스킬셋 기준 수립[심화형] 학습체계 설계
개인과 조직의 동반성장을 위한 학습체계 마련[심화형] 직무분석 및 업무정의
HRM 관점에서 개인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의 명칭 및 수행방식을 명확히 정의[심화형] 업무기능 개선
직원의 경력관리,성과관리 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조직 기능의 수행절차 및 담당 역할을 정의[심화형] 평가체계 설계(보상,배치,성과)
공정한 성과분배·적합인력 확보 시 합리적 판단기준 확보를 위한 관리체계 수립[전문형] 채용제도 진단 및 개선
구직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공정한 채용절차 수립 지원[심화형] 채용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
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효과적채용제도 마련[심화형] 장년친화 인사제도
장년·고령인력의 안정적 업무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관리체계 마련